티스토리 앵커광고 제한 공지, 한달 안에 안 빼면 정지됩니다 (해결 방법 포함)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내고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공지 반드시 주목하셔야 합니다. 2025년 6월 1일부터 티스토리에서 앵커 광고와 오퍼 광고의 설정이 제한되며, 이를 무시할 경우 블로그 정지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앵커광고 금지


티스토리 애드센스 광고 제한 공지 요약

  • 공지일시: 2025년 4월 30일 오전 11시
  • 적용시점: 2025년 6월 1일부터
  • 금지 대상: 앵커 광고(anchor ads), 오퍼 광고(offer ads)
  • 조치 내용: 설정해둔 광고 제거하지 않으면 계정 정지 위험

앵커 광고란? 왜 문제가 되는가?

앵커 광고는 화면 상하단에 고정되어 스크롤을 따라다니는 광고로, 클릭률과 수익성이 높아 많은 블로거들이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티스토리는 해당 광고가 사용자 경험을 해친다고 판단하여 금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광고 제거 방법 (애드센스 설정 기준)

  1.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
  2. 광고’ 탭 클릭 → ‘사이트’ 선택
  3. 수정할 사이트의 광고 설정에서 ‘수정’ 버튼 클릭
  4. 오버레이 광고 형식에서 ‘앵커 광고’ OFF
  5. 오퍼 광고 스크립트를 삽입한 경우, HTML 소스에서 해당 코드도 제거

대응 전략: 티스토리를 계속 쓸 수 있을까?

티스토리는 수익형 블로그의 ‘입문 플랫폼’으로 유용하지만, 이번 공지로 알수 있듯이 장기적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수익성이 줄고, 플랫폼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단계적 이전 전략이 권장됩니다.

1단계: 티스토리 최적화로 단기 수익 확보

  • 최적화가 쉬운 티스토리에서 1천만 원 이하 수익 확보
  • 플랫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

2단계: 블로그스팟(블로그팜)으로 이전

  • 구글 소유 플랫폼으로 비교적 안정성 있음
  • 국내에 정보가 부족한 만큼, 향후 세팅 방법 공유 예정

3단계: 워드프레스로 최종 이전

  • 장기적 자산 구축, 구글 SEO에 최적화 가능
  • 초기 비용·기술 진입장벽 존재 (호스팅, 세팅 등)
  • 하지만 완전한 ‘내 땅’을 소유할 수 있는 방식

중요 날짜: 5월 30일까지 반드시 조치!

2025년 5월 30일까지 티스토리 광고 설정에서 앵커 광고를 제거해야 하며, 오퍼 광고 스크립트 삽입 사용자도 직접 코드를 삭제해야 합니다. 미이행 시 블로그 정지 및 수익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반드시 달력에 메모해두세요.

티스토리가 전부는 아닙니다.

플랫폼의 공지와 정책은 언제든 변할 수 있으며, 결국 내 소유의 플랫폼으로 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장기적인 수익의 핵심입니다. 초기에는 티스토리를 활용하되, 수익이 발생하면 반드시 블로그스팟 → 워드프레스 순으로 이전 전략을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기는 기회입니다. 지금이 바로 새로운 블로그 생태계를 준비할 시점입니다.

FAQ

Q. 티스토리에서 앵커 광고가 왜 금지되었나요?

티스토리는 사용자 경험을 해친다는 이유로 앵커 광고와 오퍼 광고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일부 악용 사례가 증가하면서 플랫폼 이미지 보호를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Q. 앵커 광고를 제거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2025년 6월 1일부터 티스토리에 앵커 광고를 남겨두면 블로그가 사전 경고 없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일시 정지 또는 영구 정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

Q. 오퍼 광고는 어떤 경우에 해당되나요?

오퍼 광고는 외부 유입(페이스북, 인스타 등)을 통해 들어온 사용자가 광고를 강제로 보게 하는 형식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스크립트 외에 직접 삽입한 광고 코드도 포함됩니다.

Q. 광고 설정은 어디서 변경할 수 있나요?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한 후 ‘광고 → 사이트 → 수정’ 메뉴에서 오버레이 광고 항목의 ‘앵커 광고’를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오퍼 광고 코드가 HTML에 삽입된 경우 수동 삭제도 필요합니다.

Q. 티스토리 이후에는 어떤 플랫폼을 써야 하나요?

단기 수익 확보 후에는 구글 블로그스팟으로 이전해 보안을 유지하면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워드프레스가 가장 안정적인 대안으로 평가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